핵심 포인트
출신 및 학력 : 1945년 오하이오주 톨레도에서 미국인 어머니와 헝가리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코수스는 아주 어릴 때부터 예술 공부를 시작했으며 파리와 뉴욕 등 여러 도시에서 수학했습니다.
개념 예술의 선구자 : 1960년대에 그는 시각적 대상에서 아이디어, 언어, 맥락 으로 초점을 옮겨 예술의 개념에 혁명을 일으켰습니다.
대표작으로 는 《하나와 세 개의 의자》 , 《이념으로서의 예술》 시리즈 등이 있는데, 언어 자체의 의미에 의문을 제기하는 예술 작품이다.
글쓰기와 사상 : 그의 에세이 '철학 이후의 예술' (1968-69)은 비트겐슈타인과 발터 벤야민의 영향을 크게 받은 개념 예술 선언문으로 여겨진다.
인류학과 예술 : 1970년대에 그는 비서구 문화에 관심을 갖고 인류학을 공부했으며, 이러한 경험을 자신의 예술 및 이론적 작업에 통합했습니다.
국제적인 학술 경력 : 코수스는 예일, NYU, 소르본, 옥스퍼드, 뮌헨 미술 아카데미 등 유럽과 미국 전역의 주요 기관에서 가르쳤습니다.
세계 전시회 : 그는 5회의 도큐멘타 와 4회의 베니스 비엔날레 에 참여하였고, 전 세계적으로 170개가 넘는 개인전을 열었 습니다.
수상 및 인정 : 그는 많은 영예 중에서 프랑스 예술문학 슈발리에 훈장을 받았고, 과학과 예술 부문에서 오스트리아 금상 명예 훈장을 받았습니다.
조셉 코수스(1945년 1월 31일 출생)는 헝가리계 미국인 개념 예술가입니다. 그는 현재 뉴욕과 베니스를 오가며 활동하고 있으며, 런던, 헨트, 로마 등 여러 유럽 도시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습니다.
코수스는 오하이오주 톨레도에서 미국인 어머니와 귀족 가문 출신의 헝가리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가문에는 1848년 헝가리 혁명의 주요 인물이었던 라요시 코수트가 있습니다. 그는 톨레도 박물관 디자인 스쿨(1955~1962)에서 미술 교육을 받았으며, 이후 벨기에 화가 라인 블룸 드레이퍼에게 사사했습니다. 장학금을 받은 후 1963년 클리블랜드 미술관에 입학했습니다. 파리에서 보낸 성장기와 유럽과 북아프리카를 여행하며 그의 문화적 관점은 더욱 깊어졌습니다.
1965년 코수스는 뉴욕으로 이주하여 1967년까지 School of Visual Arts에서 수학했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빠르게 혁신적이면서도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성장하여 기존 질서에 도전하고 학생과 교수진 모두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그의 영향력 덕분에 졸업도 하기 전에 교수직을 얻게 되었는데, 이는 기존 교수진 사이에서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이례적인 행보였습니다.
예술에서 새로운 언어의 선구자
교실 밖에서도 코수스는 노멀 아트 박물관(Museum of Normal Art)을 공동 설립하여 로버트 라이먼(Robert Ryman)과 온 카와라(On Kawara) 같은 예술가들에게 초기 플랫폼을 제공했습니다. 개념 미술의 부흥에 중요한 역할을 한 코수스는 전통적인 미학을 거부하고 언어, 맥락, 그리고 의미 탐구를 중시했습니다. 그는 예술은 시각적 형태가 아니라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탐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고,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과 같은 예술가들의 유산을 재정의했습니다.
코수스의 작업은 언어와 지각 사이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의 작업은 설치 미술, 사진 기반 작품, 차용 미술을 아우르며, 의미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한 일관된 탐구를 제시합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작품을 전시했으며, 5회의 도큐멘타 전시와 4회의 베니스 비엔날레에 참여했습니다. 20세라는 어린 나이에 제작한 초기 작품 〈Protoinvestigations〉는 현재 MoMA, 구겐하임, 테이트 모던, 퐁피두 센터 등 주요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학문적 영향력과 글로벌 도달력
코수스는 1985년까지 스쿨 오브 비주얼 아트(School of Visual Arts)에서 강의를 했고, 이후 함부르크, 슈투트가르트, 뮌헨, 베니스에서 교수직을 역임하며 학문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예일대, 뉴욕대, UCLA, 소르본대 등 유수 대학에서 강의를 활발히 진행했습니다. 교육에 대한 그의 헌신은 예술 실천의 지적 엄격성에 대한 그의 신념을 반영합니다.
1989년 코수스는 빈의 지그문트 프로이트 박물관에 예술 재단을 공동 설립했으며, 현재 재단장직을 맡고 있습니다. 이 재단은 안나 프로이트의 옛 사무실에 상설 전시 공간을 마련하여 현대 미술을 통해 프로이트의 유산을 기리고 있습니다.
유산
170회가 넘는 개인전과 수십 년간 미술계에 미친 영향력을 바탕으로 조셉 코수스는 현대 미술계에서 여전히 중요한 인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관람객들에게 예술의 본질과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하며, 그를 개념 미술의 선구자이자 개념 미술의 언어 철학자로 만들었습니다.
조셉 코수스: 예술을 언어로 바꾼 예술가
조셉 코수스는 1960년대 중반에 등장한 획기적인 개념 예술가 세대의 일원으로, 예술에서 감정과 시각적 방종을 제거하고자 했습니다. 이 운동은 아름다운 사물을 만드는 대신, 예술의 본질인 아이디어 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코수스는 로렌스 와이너, 온 카와라, 한네 다르보벤과 함께 언어를 예술 창작의 핵심에 두었습니다.
코수스에게 예술의 목적은 미적인 것이 아니라 지적인 것입니다. 그의 작품은 종종 그 자체를 지칭하며, 예술이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합니다. 1969년, 그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남겼습니다.
"뒤샹 이후 예술가의 가치는 그들이 예술의 본질에 얼마나 깊이 의문을 제기했는가에 따라 측정됩니다."
그의 작품에는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 과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이론이 자주 언급되어 있으며, 심오한 철학적 탐구가 시각적 형태에 내재되어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 언어: 코수스의 상징적 실험
코수스의 첫 번째 개념 작품인 ' Leaning Glass' 는 실제 사물, 그 사진, 그리고 그 이름의 사전적 정의를 결합한 것으로, 이는 나중에 그가 더욱 야심차게 선보일 프로젝트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1966년, 그는 "Art as Idea as Idea" 연작을 시작했는데, 이 연작에서 그는 사전적 정의(예: "의미", "아이디어", "물")를 대형 흑백 사진으로 재현했습니다. 이 작품들은 전시 설명서가 아닌 소유권 증명서와 함께 제공되었는데, 이는 작품의 본질이 사물이 아니라 개념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아마도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인 <하나와 세 개의 의자 >는 실제 의자, 그 의자의 사진, 그리고 "의자"라는 단어의 정의를 담고 있는데, 이는 표현, 언어, 그리고 인식에 대한 다층적인 진술입니다. <네 가지 색깔, 네 가지 단어> 와 같은 다른 작품들도 이러한 탐구를 이어가며, 작품이 묘사하는 바를 그대로 드러내는 동어반복을 만들어냅니다.
아이디어 대 사물: 젊은 반항아의 선언문
1968년과 1969년, 코수스는 개념 미술의 철학적 토대가 된 획기적인 에세이 『철학 이후의 예술』 을 집필했습니다. 이 에세이는 단순한 논문을 넘어,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형식주의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이자 미학을 넘어 개념적 엄밀성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었습니다. 코수스는 비트겐슈타인과 발터 벤야민 같은 사상가들의 영향을 받아 예술을 철학의 연장선으로 규정했습니다. 이 에세이는 이후 14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습니다.
갤러리에서 정글까지: 문화 탐험가로서의 예술가
1970년대 초, 이미 미술계의 떠오르는 스타였던 코수스는 "백인, 남성, 유럽 중심적인" 예술가라는 자신의 정체성에 불안감을 느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그는 뉴 스쿨에서 인류학을 공부하고 아마존의 야구아족, 호주의 원주민, 그리고 말리노프스키가 연구한 트로브리안드 섬 주민들과 같은 외딴 문화권에서 현장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코수스는 이 경험을 자신의 문화적 이해의 "경계에 다다르려는" 노력으로 묘사했습니다. 이러한 탐구는 1975년 그의 중요한 에세이 『인류학자로서의 예술가』 로 정점을 이루었으며, 예술 이론과 문화 간 탐구를 융합했습니다.
벽에 걸린 철학: 후기 작품과 그의 시그니처 스타일
코수스의 후기 작품들은 대개 자신의 초기 작품 이미지와 데리다, 부버, 크리스테바와 같은 사상가들의 철학적 명언을 은은하게 이니셜로 결합한 대규모 포토몽타주입니다. 이러한 작품들은 그의 지적, 예술적 진화를 보여주는 시각적 회고록과도 같습니다.
협업 및 커미션: 공공 공간의 예술
코수스는 음악, 건축, 그리고 공공 기념물 분야로도 활동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1992년에는 존 케일의 앨범 커버를 디자인했습니다. 1994년에는 일리야 카바코프와 함께 그들의 문화적 배경을 반영한 대형 설치 미술 작품 '두 개의 평범함의 회랑(The Corridor of Two Banalities)'을 제작했습니다.
1990년대부터 코수스는 전 세계에서 수많은 공공 프로젝트를 의뢰받았습니다. 프랑스에서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 기념비를 설계하고, 발터 벤야민에게 헌정하는 네온 사인을 제작했으며, 그의 프로젝트 "ni apparence ni illusion" 에서 루브르 박물관의 벽을 철학적 텍스트로 채웠습니다. 그 외에도 스톡홀름, 브뤼셀, 베를린 연방의회 건물을 위한 작품과 찰스 다윈과 철학자 리카르다 휴흐에게 헌정하는 작품들이 주요 작품으로 꼽힙니다.
사상가-교사: 코수스의 학문적 유산
코수스는 뉴욕, 함부르크, 슈투트가르트, 뮌헨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오랜 교육자로 활동해 왔습니다. 또한 예일대, 뉴욕대, 소르본대, 옥스퍼드대, 빈 프로이트 박물관 등 명문 대학에서 방문 교수와 객원 강사로 활동했습니다. 그의 유명한 제자 중 한 명은 예술가 미셸 마제뤼스입니다.
저서: 선언문에서 잡지까지
코수스는 시각 예술 외에도 출판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그는 Art & Language 의 미국 편집자, The Fox 의 공동 편집자, 그리고 Marxist Perspectives 의 미술 편집자를 역임했습니다. 그의 저술은 예술에 대한 그의 정의를 포함하여 예술을 둘러싼 담론을 지속적으로 형성해 왔습니다.
"문화 속에 일반적으로 숨겨진 것을 드러내기 위해 예술가가 명시적으로 제시한 맥락과 사고의 명제입니다. 암묵적인 것을 명시적인 것으로, 그리고 다시 명시적인 것으로 번역하는 것이죠."
특히 철학 이후의 예술과 철학 이후의 예술에 대한 그의 수집된 글은 예술이란 우리가 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주변 세계를 어떻게 생각하고, 의문을 품고, 해석하느냐에 대한 것이라는 코수스의 변함없는 믿음을 보여줍니다.
개념 예술의 글로벌 목소리: 코수스의 주요 전시
조셉 코수스는 1969년 뉴욕의 명망 높은 레오 카스텔리 갤러리 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습니다. 같은 해, 그는 전 세계 15개 기관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야심 찬 전시인 'Fifteen Locations'를 과감하게 시작했습니다. 이는 개념 미술의 경계 없는 잠재력을 일찍이 선언한 것이었습니다. 그는 또한 세스 지겔로브 갤러리 에서 열린 중요한 그룹전에 참여했는데, 이는 새롭게 부상하는 개념 미술 운동의 시금석이 되었습니다.
1973년 루체른 미술관 에서 그의 작품을 대규모로 회고하는 전시회가 열렸고, 이 전시회는 유럽 전역을 순회하며 그의 국제적인 명성을 더욱 공고히 했습니다. 이후 1981년에는 슈투트가르트 국립미술관 과 빌레펠트 미술관 에서 회고전을 개최하는 등 여러 회고전이 이어졌습니다.
코수스는 또한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제5회 도큐멘타 V, VI, VII, IX와 1976년, 1993년, 1999년 베니스 비엔날레 에 초대되는 등 세계 미술 포럼에 꾸준히 참여해 왔습니다. 2011년부터 그는 여러 차례 베니스로 돌아와 유럽 문화 센터 와 함께 전시했으며, 가장 최근 에는 2017년 팔라초 벰보 에서 전시했습니다.
캔버스 너머: 큐레이터이자 조직자로서의 코수스
코수스는 1967년 초부터 이미 혁신적인 전시를 기획하고 있었습니다. 그중 하나인 뉴욕 라니스 갤러리에서 열린 전시 < 열다섯 사람이 가장 좋아하는 책을 소개합니다(Fifteen People Present Their Favorite Book) >에는 로버트 모리스 , 솔 르윗 , 댄 그레이엄 , 로버트 스미스슨 등 영향력 있는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갤러리를 문학적, 개념적 대화를 나누는 공간으로 탈바꿈시켰습니다.
같은 해, 아직 학생이었던 그는 크리스틴 코즐로프와 함께 노멀 아트 박물관(Museum of Normal Art) 을 공동 설립했습니다. 그들의 계획은 초기 개념 미술 작품들을 선보였고, 뉴욕의 진화하는 예술계에서 실험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코수트는 정신분석학에 관심을 갖고 1989년 빈의 지그문트 프로이트 박물관 에 작품을 기증했습니다. 이후 다른 예술가들에게도 같은 작품을 기증하도록 요청하여 프로이트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들을 모아 컬렉션을 구성했습니다. 같은 해, 그는 비트겐슈타인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철학적 오마주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말할 수 없는 것의 게임〉 을 기획하여 브뤼셀의 빈 분리파 와 팔레 데 보자르 에서 개최했습니다.
1990년, 문화 검열 논쟁에 대한 대응으로 코수스는 브루클린 미술관 에서 〈언급할 수 없는 것들의 연극〉을 기획했습니다. 그는 다양한 부서에서 도발적인 작품들을 선정했습니다. 누드, 종교적 상징, 에로틱한 작품, 심지어 바우하우스 가구까지, 이 작품들을 철학자와 학자들의 비판적 인용구와 함께 전시했습니다. 이 대담한 전시는 관객들에게 예술의 의미가 사회적 맥락과 권력 구조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다시 생각해 보도록 촉구했습니다.
찬사와 영예: 지적 예술성의 유산
코수스의 획기적인 작품은 일찍부터 공식적인 인정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1968년, 겨우 23세의 나이에 그는 마르셀 뒤샹이 사망 직전 직접 선정한 카산드라 재단 보조금을 받았습니다.
1993년 그는 베니스 비엔날레 에서 특별상을 수상했고, 프랑스 정부로부터 예술문학훈장 슈발리에 를 수여받았습니다. 이후 1999년, 프랑스는 샹폴리옹에 대한 그의 기념비적인 헌정이 있었던 피작에서 3프랑 우표를 발행하여 다시 한번 그를 기렸습니다.
그는 2001년에 볼로냐 대학교에서 철학과 문학 명예 박사 학위 를 받았습니다. 2년 후, 오스트리아 정부는 그에게 문화적 공헌에 대한 최고 영예인 금장 명예 훈장을 수여했습니다.
코수스는 또한 다음을 포함한 다른 중요한 상을 수상했습니다.
브란다이스상 (1990)
프레드릭 와이스먼 상 (1991)
현대 미술을 통해 의미를 창출하는 데 평생 헌신한 공로로 유럽 문화 센터 미술상 (2017)을 수상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다음과 같은 전 세계 주요 기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휘트니 미술관 , 뉴욕
국제 조명 예술 센터 , 우나
현대미술관 , 리옹
멜버른 빅토리아 국립 미술관
세인트루이스 미술관
애리조나 대학교 미술관
애디슨 미국 미술관 , 앤도버
그리고 다른 많은 것들도요.
❓ 자주 묻는 질문
조셉 코수스는 누구인가?
그는 시각적 형태에서 아이디어와 언어 로 예술의 초점을 전환하여 개념을 주요 매체로 삼은 것으로 유명한 헝가리계 미국인 개념 예술가입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무엇인가?
'의자 1개와 3개' 는 실제 의자, 해당 의자의 사진, 그리고 '의자'라는 단어의 사전적 정의를 담은 설치물입니다.
그는 "예술이란 의미의 생산이다"라고 말했는데, 이는 무슨 뜻이었을까?
코수스는 예술이 색상과 형태를 넘어서 맥락, 언어, 그리고 시청자의 인식을 탐구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그의 이론적 기여는 무엇인가?
그는 모더니스트 미학을 비판하고 철학에 근거한 개념적 접근을 제안하는 개념 예술의 기초가 되는 텍스트인 '철학 이후의 예술'을 썼습니다.
오늘날 그의 작품은 어디에서 볼 수 있나요?
그의 작품은 유럽, 호주, 미국 등지의 MoMA(뉴욕) , Centre Pompidou(파리) , Tate(런던) 등 유명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그는 가르쳤나요?
그렇습니다. 그는 뉴욕, 함부르크, 슈투트가르트, 뮌헨, 베니스에서 교수직을 맡았으며, 전 세계 주요 대학에서 강의를 했습니다.
그는 왜 인류학을 공부했나요?
다른 세계관과 사회로부터 배우면서 자신의 문화적 가정에 맞서고 예술의 철학적, 비판적 차원을 확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