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다 칼로, "부상 당한 사슴", 1946년 작품. 마소니트에 오일 페인팅. 개인 소장품.
라틴 아메리카 하면 어떤 예술가가 떠오르나요? 프리다 칼로의 유명한 일자 눈썹과 다른 유명한 화가의 입술에 키스하는 그녀의 매력적인 콧수염을 이미 상상하고 계실 거예요: 디에고 리베라. 또한 과장된 형태가 돋보이는 페르난도 보테로의 아름답고 통통한 여인들을 떠올리며 보편적인 아름다움의 개념을 선포하는 동시에 얼굴에 즐거운 미소를 짓고 있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잠깐만요! 여기서 멈추지 마세요. 이 잘 알려진 인물들과 함께 라틴 아메리카 미술사에서 꼭 알아야 할 다른 거장들도 톱 10에 포함되어 있으니 함께 살펴보세요!
1. 디에고 리베라와 벽화: 국가의 시각적 목소리
전기 및 스타일
디에고 리베라(1886-1957)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예술가 중 한 명으로, 멕시코 벽화 운동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유럽과 미국에서 상당한 기간을 보냈습니다. 그의 독특한 스타일은 현대 유럽의 영향과 콜럼버스 이전의 멕시코 유산을 결합합니다. 그는 이탈리아 프레스코 기법을 사용하여 사회적 불평등, 멕시코의 운명과 같은 사회적, 역사적 주제를 다루었습니다. 그는 대중의 접근성을 위해 벽화를 선호했으며 미국의 공공 예술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마르크스주의자이자 멕시코 공산당의 일원인 리베라는 자신의 정치적 의지를 표현하기 위해 예술을 사용했으며 농민, 노동자, 혁명적 인물을 묘사했으며 종종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상징적인 걸작: "앨러미다 공원에서의 일요일 오후의 꿈"
"알라메다 공원의 일요일 오후의 꿈"은 초현실적인 구성에 현실과 환상을 혼합하여 멕시코 민속과 사람들의 역사를 기념합니다. Rivera는 이 작품을 Alameda Park에서의 어린 시절 경험과 역사적인 에피소드 및 인물이 융합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벽화에 묘사된 군중 속에서는 1910년 혁명의 지도자인 프란시스코 이그나시오 마데로(Francisco Ignacio Madero)와 같은 멕시코 역사상 저명한 인물들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따뜻하고 포근한 빛이 특징인 분위기 속에서 죽음은 산 자와 죽은 자를 공원의 길을 따라 느린 행렬로 안내합니다. 이 특정 장소에서 장면을 설정하는 선택은 무작위가 아니라 리베라가 어렸을 때 가족과 함께 그곳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는 사실에 의해 결정되었습니다. 실제로 작가는 그 장소에 대한 많은 기억을 갖고 있으며, 미묘한 우울함의 터치로 여기에서 불러일으키는데, 아마도 이제는 먼 것으로 인식되는 젊은이의 향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작가가 자신을 열 살짜리로 묘사했다는 사실로 확인될 수도 있습니다. 소년.
그러나 작품의 중심에는 조각가 호세 과달루페 포사다(José Guadalupe Posada)가 유럽 부르주아지의 허영심을 풍자하고 지역 전통을 버리고 유럽 패션을 따르는 부유한 멕시코 여성들을 비판하기 위해 만든 상징적인 해골 인물인 라 칼라베라 카트리나(La Calavera Catrina)가 지배하고 있습니다. 리베라는 깃털 달린 모자와 보아로 이 인물을 불멸화시켰는데, 이는 멕시코 토착 뿌리의 전형적인 상징인 아즈텍 신 케찰코아틀의 도상학을 암시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화가는 La Calavera Catrina를 사용하여 국가적 자부심과 현대 사회에서 콜럼버스 이전 전통의 지속적인 영향력을 재확인했습니다.
이 주인공 옆에는 리베라가 앞서 언급했듯이 유명한 해골 인물의 손을 잡고 있는 어린 시절의 자신을 묘사했고, 반대편의 호세 과달루페 포사다(José Guadalupe Posada)는 그녀에게 팔을 내밀고 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2. 벽화를 넘어서: 루피노 타마요와 이젤 아트
전기 및 스타일
1899년 8월 25일 오악사카 데 후아레스에서 태어나 1991년 6월 멕시코시티에서 세상을 떠난 루피노 타마요는 영향력 있는 라틴 아메리카 화가이자 판화가였습니다. 타마요는 디에고 리베라 같은 동시대 작가들과 달리 작품에서 노골적인 정치적 표현을 피하고 대신 개인의 자유와 예술의 보편성을 알리는 데 주력하여 “국제적인 멕시코인”이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타마요의 독특한 스타일은 사실주의, 표현주의, 추상화, 입체파 등 유럽의 아방가르드 운동의 요소와 멕시코의 콜럼버스 이전 유산을 혼합한 것입니다. 그는 벽화보다 이젤 페인팅을 선호했고, 제한적이면서도 강력한 색상 팔레트를 사용했으며, 종종 빨간색과 보라색 같은 순수한 색상을 사용하여 작품에 더 큰 힘과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또한 타마요는 그래픽 작품에 촉감을 더하는 것으로 유명한 '믹소그라피아'라는 독특한 판화 기법을 개발했습니다.
상징적인 걸작: "테우안테펙의 여성들"
루피노 타마요의 가장 상징적인 걸작 중 하나는 1939년에 제작된 유화인 "테우안테펙의 여성들"입니다. 이 작품은 옷의 세세한 부분, 다채롭고 활기찬 환경, 독특한 음색으로 알아볼 수 있는 사포텍 문화의 여성들을 묘사합니다. 안색. 현재 MoMA에 소장되어 있는 이 그림은 작가의 습관적인 색상 사용에 맞춰 옷의 차분한 톤과 얼굴 사이의 대비를 강조하는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팔레트를 사용합니다.
마지막으로, "테우안테펙의 여인들"은 평범한 사람들의 강력한 이미지를 통해 문화적 정체성을 포착하는 타마요의 능력을 보여주는 훌륭한 예입니다. 전통을 증언하는 모습을 한 여성들은 강인함과 자부심을 발산하며 멕시코 원주민 문화의 존엄성을 반영합니다.
3. 프리다 칼로: 예술을 통한 영혼 속으로의 여행
전기 및 스타일
막달레나 카르멘 프리다 칼로 이 칼데론은 1907년 7월 6일 멕시코 시티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녀의 삶은 1925년에 발생한 심각한 교통사고로 인해 깊은 영향을 받았고, 그 결과 만성적인 신체적 부상이 그녀의 예술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1954년 7월 멕시코시티에서 세상을 떠난 프리다 칼로는 지울 수 없는 예술적, 문화적 유산을 남겼습니다. 프리다 칼로는 정체성, 고통, 여성성에 대한 주제를 탐구하면서 매우 개인적이고 암시적인 자화상으로 유명합니다. 그녀는 종교적, 신화적, 문화적 상징을 결합한 시각적 언어를 사용하여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전례 없는 진지함과 깊이로 묘사했습니다. 그녀의 작품은 종종 내부 장기, 상처, 고통을 드러내며 인간의 상태에 대한 생생하고 친밀한 시각을 제공합니다. 프리다는 또한 낙태와 불임과 같이 종종 숨겨져 있거나 금기시되는 삶의 측면을 강조함으로써 예술에서의 여성성 표현에 혁명을 일으켰습니다.
상징적인 걸작: "두 명의 프리다"
1939년에 제작된 그림 "두 명의 프리다"(Las dos Fridas)는 칼로의 가장 유명하고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입니다. 멕시코 시티의 현대 미술관에 소장된 이 그림은 나란히 앉아 있는 예술가의 두 가지 버전을 묘사합니다. 하나는 프리다의 하얀 유럽식 드레스를 입고 있는데, 이는 그녀의 더 취약하고 상처받은 측면, 개방적이고 출혈하는 마음을 상징합니다. 다른 프리다는 멕시코 전통 의상을 입고 가슴에 심장이 온전한 모습으로 오른손에 디에고 리베라의 작은 사진을 들고 있습니다.
이 구성을 통해 작가는 사랑에 빠진 칼로에서 고통에도 불구하고 이혼을 결심한 새로운 자아로의 전과 후의 고통스러운 전환 과정에서 그녀의 감정 상태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 인물은 손을 잡는 몸짓뿐만 아니라 피를 땅에 떨어뜨리는 수술용 가위에 의해 절단된 심장을 연결하는 긴 정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무엇으로 인한 큰 상실과 극심한 고통을 상징합니까? 이번 기회에 예술가의 여동생을 유혹했던 디에고의 또 다른 참을 수 없는 배신에 의해.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중 자화상은 작가의 고독함뿐만 아니라 그녀의 회복력과 재탄생 능력도 부각시킨다. 그녀의 예술은 여성성, 사랑, 고통과 관련된 가장 깊은 감정을 탐구하고 표현하는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작품은 의심할 여지 없이 화가가 디에고 리베라와의 복잡한 관계로 통합된 그녀의 두 가지 대조되는 정체성을 탐구하는 방법이었고 칼로 자신의 말로 간결하게 요약되었습니다. "내가 왜 그를 나의 디에고라고 부르는가? 그는 내 것입니다."
4. Tarsila do Amaral: 브라질 모더니즘의 어머니
전기 및 스타일
Tarsila do Amaral은 1886년 9월 1일 브라질 카피바리에서 태어나 1973년 1월 상파울루에서 사망한 브라질 모더니즘의 중추적인 인물입니다. 부유한 집안 출신인 그녀는 유럽에서 미술을 공부했으며 아방가르드 운동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브라질로 돌아온 그녀는 20세기 브라질 예술적 정체성을 크게 형성했습니다. 그녀의 독특한 스타일은 유럽의 입체주의와 브라질의 모티프 및 색상을 혼합하여 생동감 넘치는 팔레트와 단순화된 형태가 특징입니다. 인류학 운동의 핵심 인물인 그녀는 브라질의 관점에서 유럽 문화의 영향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그녀의 모더니스트 예술은 국가 정체성, 자연, 민속 등의 주제를 탐구하며 종종 초현실주의적 요소를 통합합니다.
대표적인 걸작: "아바포루"
Tarsila do Amaral의 가장 상징적인 걸작 중 하나는 1928년에 그려진 "Abaporu"입니다. 이 작품은 브라질 모더니즘을 상징하고 인류학 운동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이 그림은 왜곡된 비율, 작은 머리, 긴 팔, 큰 발을 가진 양식화된 인간의 모습이 선인장 옆에 앉아 있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투피과라니어로 "사람을 먹는 남자"라는 뜻의 이 제목은 문화적 식인 풍습을 암시합니다.
그 이름은 시인 라울 보프(Raul Bopp)가 제안했으며, 이 그림은 외국 문화를 브라질의 맥락에 적응시키려는 인류학 운동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이 그림은 원래 Tarsila의 남편이자 작가인 Oswald de Andrade의 생일 선물로 그려졌습니다.
마지막으로 "Abaporu"는 밝은 색상 팔레트와 양식화된 형태를 특징으로 하며 유럽의 영향과 브라질의 독창성을 결합하려는 Tarsila의 목표를 반영합니다.
5. 보테로의 천재: 과장된 형태의 아름다움과 아이러니
전기 및 스타일
1932년 4월 19일 콜롬비아 메데인에서 태어나 2023년 9월 모나코에서 세상을 떠난 페르난도 보테로 앙굴로(Fernando Botero Angulo)는 독특한 스타일인 "보테리즘(Boterism)"으로 알려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콜롬비아 화가, 조각가, 제도가입니다. 그의 길고 다작의 경력은 그를 남미에서 가장 존경받는 예술가 중 한 사람으로 만들었습니다. "보테리즘"은 인간과 동물의 모습, 사물의 풍부하고 방대한 형태가 특징이며, 둥글고 감각적인 방식으로 묘사되며 종종 유머와 매력이 있습니다. 단순히 '뚱뚱한 사람들의 화가'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보테로의 예술은 콜롬비아의 일상생활, 초상화, 정물화, 그리고 콜롬비아의 마약밀매와 인권침해 등 정치적, 사회적 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라크 주둔 미군.
상징적인 걸작: "파블로 에스코바르의 죽음"
페르난도 보테로의 가장 상징적인 걸작 중 하나는 1999년에 그린 "파블로 에스코바르의 죽음"입니다. 보테로의 전형적인 순진한 스타일로 된 이 역사적인 그림은 악명 높은 콜롬비아 마약왕 파블로 에스코바르의 극적인 몰락을 보테로의 독특한 체적 스타일을 사용하여 묘사합니다. 그를 당당하고 취약한 사람으로 묘사하십시오.
이 그림은 에스코바르와 메데인 카르텔에 의해 야기된 콜롬비아 역사의 혼란과 부패의 암울한 시기가 끝났음을 알리는 의미로, 마약 밀매와의 전쟁에서 잔혹한 정의와 고질적인 폭력에 대한 비판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보테로는 기술적 숙달과 깊은 사회적, 정치적 통찰력을 결합하여 범죄에도 불구하고 Escobar를 비극적인 인간으로 표현합니다. 이 작품은 어려운 주제를 다루는 보테로의 용기와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영향력 있는 예술로 전환하는 그의 기술을 강조합니다.
6. Wifredo Lam의 비전: 입체파, 초현실주의, 그리고 아프리카의 뿌리
전기 및 스타일
1902년 12월 8일 쿠바 사구아라그란데에서 태어나 1982년 9월 프랑스 파리에서 사망한 위프레도 람은 다문화적이고 탈식민주의적인 관점으로 20세기 현대 미술에 영향을 준 중요한 화가였습니다. 처음에는 학문적 예술 교육을 받은 그는 나중에 유럽 아방가르드 기법을 채택하여 쿠바의 뿌리와 유럽 및 카리브해에서의 경험을 반영한 독특한 스타일을 개발했습니다. Lam의 작품은 산테리아(Santería)와 같은 전통을 포용하면서 입체주의와 초현실주의를 아프로-쿠바 모티프와 통합했습니다. 그의 예술은 탈식민지화의 한 형태로 작용하여 아프리카-카리브해 모티프를 국제 예술계에 소개하고 서구 문명의 "원시" 예술과 성숙한 예술의 분리에 도전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역사적 억압, 식민주의, 동화 정책에 맞서 아프리카의 정체성을 되찾고 고양하려는 네그리튜드 운동을 지원했습니다.
상징적인 걸작: "정글"
Wifredo Lam의 가장 상징적인 걸작인 "The Jungle"(1943)은 쿠바 사탕수수 밭을 배경으로 아프리카 또는 태평양 섬 가면을 닮은 얼굴을 가진 인물을 독특하게 묘사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 그림은 생생한 색상 팔레트와 인간, 동물, 식물 요소의 복잡한 혼합을 초현실적인 구성으로 사용하여 쿠바의 노예 제도와 식민주의의 불안한 결과를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Lam이 선택한 "정글"이라는 제목은 농장 생활의 혼란스럽고 밀집된 현실을 반영하며 노예 노동자들이 직면한 혼란과 억압을 상징합니다. 정글은 농장의 착취, 고통, 저항의 미로를 은유합니다.
이 작품의 중요성은 이 작품이 Paolo Uccello의 관점 발견에 비유된 프랑스 작가 Pierre Mabille에게 미친 영향으로 강조됩니다.
7. 오스왈도 과야사민(Oswaldo Guayasamín): 인간 표현의 대가
전기 및 스타일
1919년 7월 6일 에콰도르 키토에서 태어나 1999년 3월 볼티모어에서 사망한 오스왈도 과야사민은 깊은 사회적 헌신으로 유명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화가이자 조각가였습니다. 그는 인간의 고통과 회복력을 포착하여 수많은 국제적인 찬사를 받았으며 20세기 라틴 아메리카 미술의 핵심 인물이 되었습니다. 과야사민의 스타일은 인간의 고통을 본능적이고 드라마틱하게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며, 표정이 풍부한 얼굴을 가진 길고 왜곡된 인물이 특징입니다. 그는 원주민 전통과 라틴 아메리카 사회 현실의 영향을 받아 표현주의적 요소와 인간의 깊은 감성을 결합한 독특한 시각적 언어를 개발했습니다. 어둡고 흙빛 톤이 지배적인 그의 작품은 드라마와 엄중함을 강조하고 사회적 불의, 전쟁, 불평등에 초점을 맞추고 비난과 반성을 위한 예술을 사용합니다.
상징적인 걸작: "분노의 시대"
Oswaldo Guayasamín의 상징적인 걸작 시리즈인 "분노의 시대"(La Edad de la Ira)는 전쟁의 공포와 사회적 불의를 비난하기 위해 수십 년에 걸쳐 제작된 130점의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960년대에 시작되어 영원한 갈등에 대한 증거로 미완성된 이 시리즈는 인류의 가장 폭력적인 시대인 20세기를 묘사하며, 제1차 세계 대전, 스페인 남북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등 다양한 갈등을 언급합니다.
이 작품들 중에서는 1976년에 그린 <절규>(엘 그리토)가 눈에 띈다. 괴로움에 일그러진 모습을 표현하고 있으며, 불균형적인 형태와 강렬한 붉은색이 감성적 임팩트를 높여준다. 이 그림은 보편적인 인간의 고통을 생생하게 포착하고 폭력과 억압에 대한 항의의 가슴 아픈 상징으로 작용합니다.
8. 칠레에서 세계로: 로베르토 마타의 예술 혁명
전기 및 스타일
1911년 11월 11일 칠레 산티아고에서 태어나 2002년 11월 이탈리아 치비타베키아에서 사망한 로베르토 세바스티안 안토니오 마타 에차우렌(Roberto Sebastián Antonio Matta Echaurren)은 유럽, 미국, 라틴 아메리카 문화를 종합한 것으로 유명한 칠레의 유명한 화가이자 건축가였습니다. 초현실주의 운동의 일원이자 추상 표현주의의 멘토로서 그는 강력한 사회적 의식을 가지고 내부 및 외부 세계를 탐구하는 개인적인 비전을 개발했습니다. Matta의 작품은 추상화, 구상, 다차원 공간을 복잡한 풍경으로 혼합합니다. 처음에는 초현실주의의 일부였던 그는 사회적, 정치적 주제를 도입하여 기하학적이고 생물 형태적인 형태가 역동적인 인물로 변하는 대규모 그림을 만들었습니다. 추상적인 형태를 통한 무의식에 대한 그의 탐구는 추상 표현주의에 영향을 미쳤고, 잭슨 폴록(Jackson Pollock)과 로버트 마더웰(Robert Motherwell)과 같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상징적인 걸작: "밤의 침략"
로베르토 마타(Roberto Matta)의 "밤의 침입(Invasion of the Night)"(1941)은 초현실주의와 추상주의의 독특한 조화를 보여주는 그의 가장 상징적인 걸작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이 그림은 꿈 같은 풍경과 감정적인 몸짓을 결합하여 초현실적이고 역동적인 장면을 보여줍니다. 그것은 유사 우주 공간에 정지된 기하학적 형태와 생물 형태의 형태가 혼합되어 끊임없는 움직임과 변형의 느낌을 만들어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Matta의 혁신적인 다중 관점 사용은 구성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시청자가 생생한 색상, 추상적인 형태, 현실과 환상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탐험하도록 유도합니다.
시각적 인식의 경계를 넓히는 것으로 알려진 Matta의 "Invasion of the Night" 예술은 기존의 물리학을 초월하여 공간적, 시간적 규범이 정지된 대안적 현실을 제공합니다. 빠른 붓놀림과 깊이감을 주는 겹겹이 쌓인 색상이 특징인 그의 기법이 이러한 효과에 기여합니다. 더욱이 이 그림은 프로이트와 융의 이론에 영향을 받아 잠재의식과 인간 심리를 탐구합니다. 작품 속 생물 형태와 기하학적 형태는 정신적 과정과 내면의 감정을 상징하며, 구성의 유동성은 생각과 감정의 흐름을 반영합니다.
9. 리지아 클라크(Lygia Clark)와 현대 미술의 진화
전기 및 스타일
리지아 클라크(1920-1988)는 네오콘크리트 운동을 공동 창립한 브라질 20세기 미술의 핵심 인물입니다. 그녀는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물고 상호작용적이고 감각적인 경험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처음에는 추상화로 알려졌던 그녀는 3차원 형태로 옮겨가 관객이 작품을 완성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참여하는 참여 예술을 개척했습니다. 그녀의 설치 작업에는 종종 촉각적 상호 작용이 필요하여 전통적인 예술 경험을 변화시켰습니다.
상징적인 걸작: "Descoberta da Linha Orgânica"(유기농 계통의 발견)
"Descoberta da Linha Orgânica"(유기적 선의 발견)는 Lygia Clark의 가장 상징적인 걸작 중 하나로, 그녀의 경력에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즉, 3차원 공간에 대한 탐구의 시작과 예술 작품과 관객의 신체 경험 사이의 관계입니다. .
그림에서 Clark은 생물학적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유기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관객이 작품에 들어갈 수 있는 개구부 역할을 하는 선을 나타냅니다. 이 유기적인 라인은 건축 공간의 문틀의 기능적 라인과 유사하며 접근 및 전환 지점 역할을 합니다. Piet Mondrian, El Lissitzky, Kazimir Malevich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Clark의 작품은 기하학적 추상을 뛰어넘습니다.
작가 자신에 따르면, 그녀의 작업은 그림 속에서 유기적인 공간을 찾아 보는 사람이 진정으로 작품에 들어가 체험할 수 있는 장소를 만들어내려는 시도라고 한다.
10. 토레스 가르시아와 구성주의: 라틴 아메리카의 보편적 예술
전기 및 스타일
우루과이의 영향력 있는 화가이자 디자이너인 호아킨 토레스-가르시아(1874-1949)는 유럽의 현대 미술과 콜럼버스 이전의 상징을 결합했습니다. 유럽에서 수년을 보낸 후 그는 우루과이로 돌아와 영향력 있는 미술 학교를 설립하고 지역 미술과 현대 미술의 통합을 촉진했습니다. 그의 스타일은 격자 구조와 대칭을 사용하여 입체파와 신조형주의 요소를 토착 미학과 혼합합니다. 그는 단순한 기하학적 모양과 전형적인 상징으로 보편적인 시각적 언어를 창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보편적 구성주의" 운동을 창시했습니다.
상징적인 걸작: "건설적 보편주의"
호아킨 토레스-가르시아의 가장 상징적인 작품 중 하나는 단일 그림이 아닌 그의 예술 철학 전체를 포괄하는 용어인 "구성적 보편주의"입니다. 이 작품들 중에서 『사형구조』(1932)는 보편적 구성주의를 구현한 걸작으로 단연 돋보이는 작품이다.
이 그림에서 토레스-가르시아는 기하학적 격자를 사용하여 캔버스를 구성하고 인류, 여성성, 태양, 달과 같은 보편적인 주제를 나타내는 양식화된 인물과 상징을 통합합니다. 구성에는 시대를 초월하고 보편적인 품질을 향상시키는 단순한 모양이 포함되어 있으며, 콜럼버스 이전 예술에서 영감을 받은 요소는 남미 문화 유산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Constructive with Four Figures"는 문화적, 시간적 경계를 초월하는 언어로서 예술에 대한 토레스 가르시아의 비전을 예시하며 인간 경험의 근본적인 통일성에 대한 그의 믿음을 보여줍니다.